입시정보/고3 모의고사

2026년 6월 모의평가(모의고사) 영역별 응시 현황, 영어등급비율

캐리어우먼 2025. 7. 2. 01:31

2026년 6월 4일 시행된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6월 모의평가 채점 결과 분석 자료를 한국교육과정평가원에서 발표한 자료입니다. 영역(국어, 수학, 영어, 한국사, 사회탐구, 과학탐구) 별 응시 현황과 절대평가인 영어 영역, 한국사의 등급 비율, 탐구과목(사회탐구, 과학탐구)의 표준점수와 과목별 인원수를 정리해서 알려드리겠습니다.

 

2026학년도 수능 6월 모의평가에 응시한 수험생은 421,623명으로 재학생은 346,437명, 졸업생과 검정고시 합격자 등은 75,186명이였습니다.

 

 

 

 

 

2026년 6월 모의평가(모의고사) 영역별 응시 현황, 영어등급비율

1. 영역(과목) 별 응시 현황

■2026학년도 수능 6월 모의평가의 영역별 응시자 현황은 아래와 같습니다.

2026년 6월 모의평가(모의고사)
출처:한국교육과정평가원-2026년 6월 평가원 모의고사 영역(과목)별 응시 현황

 

 

영역별 응시자 수는 국어 영역 419,252명, 수학 영역 415,830명, 영어 영역 420,974명, 한국사 영역 421,623명, 사회·과학탐구 영역 413,872명, 직업탐구 영역 4,772명, 제2외국어/한문 영역 6,570명이었습니다.

 

 

 2026학년도 수능 6월 모의평가의 국어, 수학 영역 선택과목별 응시자 현황은 아래와 같습니다.

출처:한국교육과정평가원-2026년 6월 평가원 모의고사 고3 국어, 수학 영역 선택과목별 응시 현황

 

 

 

국어 영역에서 선택과목별 응시자 비율은 화법과 작문 65.1%, 언어와 매체 34.9%이었습니다.
수학 영역에서 선택과목별 응시자 비율은 확률과 통계 56.4%, 미적분 41.0%, 기하 2.6%이었습니다.

 

 

 2026학년도 수능 6월 모의평가의 사회, 과학탐구 영역 과목별 응시자 현황은 아래와 같습니다.

2026년 6월 모의평가(모의고사)
출처:한국교육과정평가원-2026년 6월 평가원 모의고사 고3 사회,과학 탐구영역선택과목별 응시 현황

 

 

사회, 과학탐구 영역에서 선택과목의 응시자가 많은 순서는 사회문화, 생활과 윤리, 지구과학Ⅰ, 생명과학,  윤리와 사상, 한국지리, 물리학, 세계지리, 정치와 법,  화학, 세계사,  동아시아사, 생명과학Ⅱ, 경제, 지구과학, 물리학 Ⅱ, 화학 입니다.

 

 

 2026학년도 수능 6월 모의평가의 제2외국어/한문 영역 과목별 응시자 현황은 아래와 같습니다.

2026년 6월 모의평가(모의고사)
출처:한국교육과정평가원-2026년 6월 평가원 모의고사 고3 제2외국어, 한문 영역선택과목별 응시 현황

 

 

일본어Ⅰ을선택한 응시자가 많았으며, 베트남어Ⅰ을 선택한 응시자는 적었습니다.

 

 

 2026학년도 수능 6월 모의평가의 국어, 수학, 영어 영역 응시자의 탐구 영역별 응시 비율은 아래와 같습니다.

2026년 6월 모의평가(모의고사)
출처:한국교육과정평가원-2026년 6월 평가원 모의고사 고3 국어, 수학, 영어 영역 과목별 과목별 응시자의 탐구영역별 응시 비율

 

 

 ◦ 국어 영역의 경우, 사회탐구 영역 57.4%, 과학탐구 영역 24.2%이었으며, 사회탐구와 과학탐구 영역을 조합해 응시한 비율은 16.6%이었습니다.
 ◦ 수학 영역의 경우, 사회탐구 영역 57.1%, 과학탐구 영역 24.5%이었으며, 사회탐구와 과학탐구 영역을 조합해 응시한 비율은 16.7%이었습니다다.
 ◦ 영어 영역의 경우, 사회탐구 영역 57.4%, 과학탐구 영역 24.2%이었으며, 사회탐구와 과학탐구 영역을 조합해 응시한 비율은 16.6%이었습니다.

 

 

 

2. 영역(과목) 별 등급 구분 

 2026학년도 수능 6월 모의평가의 영어영역 9개 등급의 인원과 비율은 아래표와 같다.

2026년 6월 모의평가(모의고사)
출처:한국교육과정평가원-2026년 6월 평가원 모의고사 고3 영어 영역 등급 비율

 

 

영어 영역 등급 비율은 1등급 19.10%, 2등급 16.43%, 3등급 18.09%, 4등급 15.19%, 5등급 9.72%, 6등급 6.73%, 7등급 5.21%, 8등급 6.92%, 9등급 2.61%입니다.

 

 

 2026학년도 수능 6월 모의평가의 한국사 영역 9개 등급의 인원과 비율은 아래표와 같다.

2026년 6월 모의평가(모의고사)
출처:한국교육과정평가원-2026년 6월 평가원 모의고사 고3 한국사 영역 등급 비율

 

 

한국사 영역 등급 비율은 1등급 21.18%, 2등급 13.40%, 3등급 15.18%, 4등급 15.02%, 5등급 11.59%, 6등급 8.11%, 7등급 6.44%, 8등급 5.27%, 9등급 3.80%입니다.

 

 

 2026학년도 수능 6월 모의평가의 사회탐구 영역 9개 등급의 인원과 비율, 표준점수 아래표와 같다.

2026년 6월 모의평가(모의고사)
2026년 6월 모의평가(모의고사)
출처:한국교육과정평가원-2026년 6월 평가원 모의고사 고3 사회탐구영역 등급 비율 및 표준점수

 

 

 2026학년도 수능 6월 모의평가의 과학탐구 영역 9개 등급의 인원과 비율, 표준점수 아래표와 같다.

2026년 6월 모의평가(모의고사)
출처:한국교육과정평가원-2026년 6월 평가원 모의고사 고3 과학탐구영역 등급 비율 및 표준점수

 

 

 

 2026학년도 수능 6월 모의평가의 제2외국어/한문 영역 9개 등급의 인원과 비율, 표준점수 아래표와 같다.

2026년 6월 모의평가(모의고사)
출처:한국교육과정평가원-2026년 6월 평가원 모의고사 고3 제2외국어/한문 영역 등급 비율 및 표준점수

 

 

2026학년도 6월 고3 평가원 모의고사 영역(과목) 별 응시 현황, 영역(과목) 별 등급 구분, 절대평가 과목(영어, 한국사, 제2외국어/한분)의 등급별 비율을 알아봤습니다. 

 

 

 

 

2026년 고3 6월 수능모의평가를 집에서 풀어보고 점수나 등급확인하시는 분들, 과탐이나 사탐 선택과목 인원수가 궁금하신 분들에게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